커리어 다 이룬 메시의 여유 “발롱도르? 못 받아도 그만”

[BO]악어 0 977 0



리오넬 메시가 17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포르 로더데일의 DRV PNK 스타디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해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리오넬 메시가 17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포르 로더데일의 DRV PNK 스타디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해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리오넬 메시가 17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포르 로더데일의 DRV PNK 스타디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해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사실상 모든 이정표를 세운 리오넬 메시의 여유일까. 메시가 향후 발롱도르 수상에 대해 “특별한 가치를 부여하지는 않는다”며 유연한 대처를 보여줬다.

메시는 18일(한국시간) 2023 리그스컵 결승전 기자회견을 위해 홈 구장인 DRV PNK 스타디움에서 현지 취재진과 마주했다. 이날은 메시의 대회 첫 기자회견이었다. 메시의 인터 마이애미는 오는 20일 내슈빌 SC(미국)과 리그스컵 우승 트로피를 놓고 다툰다. 스페인 스포르트, 영국 데일리메일 등은 이날 메시의 발언들을 조명했다. 

먼저 데일리메일은 “메시는 과거 바르셀로나(스페인)를 떠나 프랑스 파리 생제르맹(PSG)으로 이적하지 싶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인터 마이애미의 이적은 그 반대라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메시는 이날 “행복을 이어갈 경기가 남아 있다는 사실에 행복하다.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곳에 왔고, 우리의 결정이었기 때문에 훨씬 쉬웠다”고 설명했다. 이어 “PSG와의 계약은 내가 계획한 것이 아니었다. 바르셀로나에 계속 머물고 싶었지만, 결국 PSG로 이적해야 했다. 너무 갑작스럽게 벌어진 일이었다”고 돌아봤다. 이어 “파리에서는 힘들었지만, 마이애미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 우승과 발롱도르 수상에 대한 내용도 나왔다. 메시는 우선 월드컵 우승에 대해 “내 커리어에서 가장 중요한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발롱도르에 대해선 “정말 큰 성과지만, 특별한 가치를 부여하지는 않는다. 중요한 것은 팀 트로피다. 받으면 좋지만, 못 받아도 그만이다. 선수 생활하며 가졌던 목표를 이뤄냈고, 이제는 새로운 목표를 위해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열린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결승전 프랑스와 아르헨티나의 경기. 아르헨티나 선수들이 승부차기 접전끝에 우승을 차지한 뒤 환호하고 있다. 월드컵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린 메시의 모습. 사진=게티이미지


메시가 월드컵 우승 트로피에 입을 맞추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물론 메시는 여전히 발롱도르는 물론, 각종 개인상 수상 후보에 이름을 올린다. 바로 전날 유럽축구연맹(UEFA)은 올해의 선수 최종 후보 3인을 공개했는데, 메시가 여기에 포함돼 있다. 지난 2022~23시즌 트레블을 이뤄낸 맨체스터 시티의 듀오 케빈 더 브라위너와 엘링 홀란과 함께 수상을 겨룬다. UEFA 올해의 선수상은 유럽에서 활약한 선수들의 클럽, 국가대표 성적을 기반으로 선정된다. UEFA 기술 연구 그룹이 초기 후보 명단을 꾸리고, 투표를 통해 순위가 갈린다. 투표인단은 UEFA 주관 클럽 대항전에 참가한 클럽팀 감독·UEFA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유럽스포츠미디어(ESM) 선정 기자들로 구성됐다. 

메시는 지난 시즌 PSG 소속으로 공식전 41경기 21골 20도움을 올리며 빛났지만, 거머쥔 클럽 트로피는 리그 우승과 프랑스 슈퍼컵뿐이었다. 하지만 하이라이트인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를 우승으로 이끌며 생애 두 번째 골든볼을 거머쥐었다. 


2년 전 8월 바르세로나와의 동행을 마친 메시. 당시 기자회견에서 눈물을 흘리며 이별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사진=게티이미지


메시는 지난 2004~05시즌 바르셀로나 유니폼을 입고 공식전을 치른 뒤 통산 778경기 672골을 터뜨렸다. 뛰어난 활약을 앞세워 현대 축구계 최고 선수로 꼽힌다. 최고 선수에게 주어지는 발롱도르를 무려 7번이나 수상했으며, FIFA 최우수 선수상 3회·UEFA 올해의 선수상 3회·스페인 라리가 최우수 선수상 6회 등 화려한 수상 경력을 자랑한다. 4번의 UEFA 챔피언스리그(UCL) 우승은 물론, 라리가 10회·코파 델 레이(국왕컵) 7회 등 클럽에서도 성공 가도를 달렸다.

하지만 바르셀로나와의 동행에 갑작스러운 마침표가 찍혔다. 구단은 리그 규정에 따른 재정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메시와 재계약을 할 수 없었다. 결국 메시는 자유계약으로 팀을 떠나 PSG 유니폼을 입었다. 

2년 전 8월 PSG 입단 당시 메시의 모습. 사진=게티이미지

메시는 PSG에서도 뛰어난 공격 포인트 생산성을 뽐냈으나, 결정적인 순간 아쉬움울 삼켰다. 사진=게티이미지

지난 2022~23시즌 PSG에서의 마지막 경기를 마친 뒤 터널을 지나가고 있는 메시의 모습. 사진=게티이미지



PSG에서 메시는 공식전 75경기 32골 35도움을 올렸다. 기록은 뛰어났지만, 시즌 초 적응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특히 지난 2022~23시즌 후반기에는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광고 계약 때문에 무단으로 팀을 이탈하는 등 논란이 일기도 했다. 메시는 공식적으로 머리를 숙이며 사과했지만, PSG 팬들은 그에게 야유로 답했다. PSG는 우여곡절 끝에 리그 우승을 거머쥐었지만, 2년 연속 UCL 16강 탈락이라는 굴욕을 맛봤다. 메시는 지난 2021~22시즌엔 결정적인 페널티킥 실축을, 2022~23시즌엔 별다른 영향력을 보여주지 못했다. 

PSG와 메시의 동행은 여기까지였다. 다시 한번 자유계약으로 팀을 떠난 메시는 인터 마이애미로 향했다. 앞서 메시의 ‘행복하다’는 감상대로, 그는 일찌감치 적응기 우려가 무색한 활약을 펼치고 있다.


지난달 17일 인터 마이애미 DRV PNK스타디움에서 열린 입단식에서 메시와 포옹하는 베컴 구단주의 모습. 사진=MLS 홈페이지


인터 마이애미 조르디 알바(오른쪽)가 3일 열린 올랜도 시티와의 리그스컵 32강 경기 전 홈 팬들 앞에서 인사를 전하고 있다. 사진=인터 마이애미 SNS

인터 마이애미 세르히오 부스케츠가 3일 열린 올랜도 시티와의 리그스컵 32강 경기에서 승리한 뒤 팬들 앞에서 환호하고 있다. 사진=인터 마이애미 SNS

인터 마이애미는 올 시즌 MLS 전체 29위, 최하위를 기록 중인 팀이었다. 하지만 ‘메시와 함께한’ 인터 마이애미는 달랐다. 아메리카 지역의 챔피언스리그 격인 2024 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CONCACAF) 챔피언스컵 진출권이 달린 리그스컵에서 전력상 우위의 팀을 차례로 격파했다.

시작은 크루즈 아줄(멕시코)과의 조별 리그 1차전이었다. 인터 마이애미는 후반 종료 전까지 1-1 팽팽한 승부를 이어갔다. 균형을 깨트린 건 후반전 교체 투입돼 그라운드를 밟은 메시였다. 그의 첫 공식전. 메시는 추가시간 종료 직전 왼발 프리킥으로 팀의 결승 골을 터뜨렸다. 메시는 팀 동료들과 함께 환호했고, 데이비드 베컴 공동 구단주 역시 환한 미소를 띠었다. 한 달 가까이 승리가 없던 인터 마이애미의 6경기 무승 부진을 끊는 메시의 한 방이었다.

이어진 애틀란타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선 2골 1도움을 기록하며 팀의 4-0 대승을 이끌었다. 이날 과거 팀 동료 부스케츠 역시 선발 데뷔전을 치렀다. 

바르셀로나 트리오가 모두 그라운드를 밟은 올랜도 시티와의 경기에서도 주인공은 메시였다. 메시는 이번에도 멀티 골을 터뜨리며 팀에 승리를 안겼다.

이후 16강 댈러스전에선 그야말로 난타전이 펼쳐졌다. 두 팀은 90분 동안 4골씩 주고받았다. 이번에는 댈러스가 4-3으로 앞서갔으나, 메시가 후반 40분 극적인 동점 프리킥 골을 성공시키며 팀을 구했다. 직전 추격골도 메시의 간접 프리킥에서 시작됐다. 곧바로 이어진 승부차기에서도 1번 키커로 나서 가볍게 성공시켰다. 기세를 올린 인터 마이애미는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앞서며 8강 진출에 성공했다.


16일 열린 인터 마이애미와 필라델피아의 2023 리그스컵 4강전. 리오넬 메시가 득점 후 환호하고 있다. 사진=인터 마이애미 SNS

이후 메시는 샬럿, 필라델피아 유니언와의 경기에서도 1골씩 추가했다. 마지 2010년대 바르셀로나에서 보여준 활약처럼, 매 경기 기록지에 자신의 이름을 써 내려가고 있다.

대회 9골을 기록한 메시는 이미 득점왕 자리를 예약했다. 그 아래 순위 선수들은 모두 대회에서 탈락했다. 과연 메시가 마지막 결승전에서도 웃을 수 있을지가 관전 요소다.

미국·캐나다에서 열리는 리그스컵은 MLS와 멕시코 리가 MX 소속 구단이 참가하는 대회다. 47개 팀이 참가해 조별 리그와 32강 토너먼트를 거쳐 우승자를 가린다.

김우중 기자

0 댓글
Hot
[ 스포츠뉴스 ]

'우승이 제일 쉬웠어요'...코망, …

2020.08.24
Hot
[ 스포츠뉴스 ]

김민재, 돌연 엔트리 제외... 中매…

2020.09.29
Hot
[ 스포츠뉴스 ]

"일부러 풀타임 기용…

2020.11.02
Hot
[ 스포츠뉴스 ]

'유럽축구 덮친 끔찍한 사건...' …

2023.08.09
Hot
[ 스포츠뉴스 ]

김하성, 골드글러브 NL 2루수-유틸…

2023.10.19
Hot
[ 스포츠뉴스 ]

클롭 "우릴 불쌍히 여기지 …

2020.03.04
Hot
[ 스포츠뉴스 ]

[MLB gif] 류현진, 라이브피칭…

2020.07.10
Hot
[ 스포츠뉴스 ]

토트넘의 빼앗긴 PK, 오심 인정 받…

2020.07.10
Hot
[ 스포츠뉴스 ]

[인터뷰] KGC '체력왕' 이솔아의…

2020.07.17
Hot
[ 스포츠뉴스 ]

'소환' 김준영 "'칸나' …

2020.07.27
Hot
[ 스포츠뉴스 ]

"감스트X훈련소 동기들,보고…

2020.08.10
Hot
[ 스포츠뉴스 ]

[단독] 염경엽 감독, SK 떠난다……

2020.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