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감하는 도루의 가치, 역대 최소 도루왕 탄생하나?

[BO]엠비 0 1826 0
 


빠른 발로 베이스를 훔치는 ‘대도(大盜)’의 가치가 점차 줄어간다. 리그 전반에 도루 지양론이 불어 닥친 가운데, 역대 최소 도루왕의 탄생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7월 30일까지 KBO리그 도루 1위는 로저 버나디나(KIA 타이거즈·25개)다. 그 뒤를 이용규(한화 이글스), 박해민(삼성 라이온즈·이상 24개)이 바짝 쫓고 있다. 하지만 팀당 100경기 안팎을 치른 상황에서 이들의 도루 숫자는 저조하기만 하다. 시즌 종료시 버나디나는 37도루, 박해민이 34도루, 이용규는 33도루 페이스다.

‘역대 최소 도루왕’은 지난해 박해민(40도루)이다. 그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1984년 김일권(당시 해태·41도루)이 ‘최저 도루왕’이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뜯어보면 박해민과 김일권의 사례는 차이가 크다. 1984년은 팀당 100경기씩 치르던 시절이다. 하물며 김일권은 단 62경기 출장으로 41도루를 기록했다. 지난해 144경기에 모두 나서 40도루를 기록한 박해민에 비해 경기당 도루는 두 배 이상이다. 이처럼 도루왕이 40도루를 넘기지 못한 사례는 단 한 번도 없었다. 어쩌면 올해 그 첫 기록이 쓰일 수 있는 것이다.

현대 야구에서는 도루의 가치를 낮게 평가한다. 무사 1루에서 2루 도루 성공으로 얻는 이익보다 실패로 1사 주자없는 상황이 됐을 때의 손실이 더 크다는 이유다. ‘세이버매트릭스’의 대부로 불리는 빌 제임스는 “도루 성공률이 70% 미만일 때는 시도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열 번에 일곱 번은 성공해야 효과적인 작전이라는 의미다.

‘바람의 아들’ 이종범은 1994년 124경기에서 84개의 도루를 성공했다. 아직도 깨지지 않는 단일시즌 최다 도루 기록이다. 이러한 ‘날쌘돌이’들이 안겨주던 베이스를 훔칠 때 주는 낭만은 점차 보기 힘들어질 전망이다. 

0 댓글
Hot
[ 스포츠뉴스 ]

'전설' 스콜스, '도발 논란' 무리…

2018.11.08
Hot
[ 스포츠뉴스 ]

"누구도 카리우스에게 다가가…

2018.05.28
Hot
[ 스포츠뉴스 ]

류현진, 5이닝 2피홈런 3실점 시즌…

2018.09.12
Hot
[ 스포츠뉴스 ]

유승안 감독의 작심발언 "사…

2018.11.08
Hot
[ 스포츠뉴스 ]

42세 임창용의 여전한 시속 147㎞…

2018.05.11
Hot
[ 스포츠뉴스 ]

'美 활약' 루니, "호날두…

2018.07.17
Hot
[ 스포츠뉴스 ]

'켈리 완벽투+홈런 3방' SK, 두…

2018.11.08
Hot
[ 스포츠뉴스 ]

[SPO 톡] '폭로왕' 에메리 &#…

2018.05.28
Hot
[ 스포츠뉴스 ]

"굴욕적이야" 맨시…

2020.04.03
Hot
[ 스포츠뉴스 ]

"KBO 역사상 가장 나쁜 …

2020.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