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핫이슈]"바운드야? 노바운드야?" 마이크 찬 주심, 감독 퇴장의 재구성

[BO]스포츠 0 1034 0


[부산=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바운드야?" "노바운드, 노바운드." 마이크를 찬 주심의 음성이 생중계에서 그대로 전파를 탔다. 퇴장 상황을 둘러싼 파문은 더욱 커진다.
14일 부산 사직구장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의 경기. 두산이 0-2로 뒤진 2회초 선두타자 김재환이 우중간 2루타를 치고 나갔다. 상황은 다음 타자 최주환 타석에서 벌어졌다. 최주환은 1B-2S에서 4구째 떨어지는 공에 스윙을 했다. 오훈규 주심은 오른손을 들어 삼진콜을 했다. 논란의 장면은 그 다음이다. 이미 삼진콜을 한 주심이 롯데 포수 정보근에게 "바운드야?"라고 물었다. 정보근은 "노바운드"를 반복해서 답했다. 주심은 정보근이 손에 들고있는 공을 보면서 "바운드 됐는데?"라고 이야기했지만, 정보근은 "노바운드"를 강조했다. 주심은 결국 "오케이"라며 다시 한번 삼진콜을 했고, 주춤주춤 타석 근처에 서성이던 최주환은 고개를 갸웃하며 천천히 더그아웃으로 향했다. 그때 두산 벤치가 비디오 판독을 신청했다.

3분간의 판독 끝에 결과는 번복되지 않았고, 한참 동안 나와 항의하던 두산 김태형 감독은 그대로 퇴장을 당했다.

▶두산 비디오판독 신청→판독 시작

김태형 감독은 손으로 비디오판독 신청을 뜻하는 네모를 그리며 요청했다. 두산이 요청한 비디오판독은 '정보근이 원바운드로 포구했느냐, 노바운드로 포구했느냐'는 내용이었다. 두산은 최주환의 타구가 '파울'이라고 확신했고, 정보근이 노바운드로 포구했다면 '파울팁 삼진'이지만 원바운드라면 '파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비디오 판독을 신청했다.

▶판독 소요 시간 3분

심판들이 헤드셋을 꼈고, 최대 소요 시간인 3분을 다 썼다. 방송사 중계 화면, 사직구장 전광판을 통해 본 판독 영상은 공이 최주환의 배트에 스쳤는지, 스치지 않았는지를 반복해서 보여줬다. 그리고 배트를 지난 공이 확실히 원바운드로 정보근의 미트에 들어가는 그림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판독 끝→김태형 감독 항의

결과는 아웃이었다. 그런데, 서로의 포인트가 다르다. 기록된 최주환의 아웃카운트는 '헛스윙 삼진 아웃'이다. 하지만 김태형 감독이 나와 항의한 내용은 "파울이 아니냐, 배트에 스치는 소리가 들리지 않았냐, 주심이 바운드 여부를 물어보지 않았냐"는 게 주를 이뤘다. 중계 화면을 보면, 최주환이 스윙하는 순간 '딱' 하는 마찰음이 크게 들렸다. 공이 배트를 지난 후 바닥으로 떨어지는 각도가 미세하게 굴절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배트에 맞는 소리와 공의 궤적을 감안했을 때, 아주 미묘하게 공이 배트를 스치고 지나가 바닥에 떨어진 후 포수의 미트에 들어갔다는 가정이 가장 설득력을 얻는다.

▶두산 벤치가 놓친 것

두산도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 바로 비디오 판독 요청의 주요 포인트다. 원칙적으로 비디오 판독을 요청할 때는 감독이 주심에게 구두로 정확하게 요청을 해야 한다. 물론 경기를 진행 하다 보면 홈런/파울 여부, 아웃/세이프 등 원하는 장면이 무엇인지 명확한 상황들이 발생한다. 그럴 때는 손으로 사인만 보내도 크게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명확하게 말로 짚어줄 필요는 있었다. 두산은 최주환의 타구가 파울이라 확신하고, 바운드 여부를 판독해달라는 의도였으나, 실제 비디오 판독은 헛스윙/파울 여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5회 종료 후 주심은 홈팀 홍보팀을 통한 당시 상황 설명에서 "최주환의 아웃 상황에 대해 '헛스윙 삼진'으로 판정했다. 두산 측에서 비디오 판독을 요청하는 표시만 했고, 내용을 밝히지는 않았다. 일단 해당 장면에 대한 신청이 들어오면 비디오센터에서 전체적인 상황을 살펴보고 판단을 내린다"고 답했다.

▶주심은 왜 포수에게 물어봤을까?

최대 논란은 이 부분에서 발생한다. 주심이 '헛스윙 삼진'을 처음부터 확신하고, 판독 후에도 원심을 유지한다면 두산이 억울함은 있을지 모르나 지금처럼 문제가 확산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주심이 포수에게 '바운드가 맞는지'를 누차 물어보고, 공을 살펴보는 장면이 고스란히 카메라에 잡혔다. KBO는 방송사와 합의해 올 시즌부터 주심과 심판들에게 마이크를 채웠다. 예전 같았다면 주심의 실시간 목소리가 들리지 않았을텐데, 이번 장면에서는 생생한 내용이 모두 공개됐다.

설명대로 '헛스윙 삼진'을 확신했다면 포수에게 바운드를 물어볼 필요가 없다. 헛스윙 후 노바운드로 포수 글러브에 들어갔다면 헛스윙 삼진이고, 원바운드로 포구됐다면 낫아웃 삼진에 해당된다. 물론 낫아웃 삼진의 경우 포수는 최주환을 태그해야 확실한 아웃 처리가 된다.

실질적으로 바운드, 노바운드 여부는 최주환이 '파울'을 기록했을 때 합당한 질문이 된다. 파울 후 원바운드 타구 처리는 파울, 파울 후 노바운드 처리는 파울팁 삼진이다. 또 단순히 타석 결과를 떠나, 주심이 삼진콜을 내린 후 포수에게 내용을 물어보고 다시 판정을 확신하는 장면이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계속되는 판정 이슈

이날 경기에서 김태형 감독이 2회에 퇴장했지만, 결국 두산이 이겼다. 두산은 감독 퇴장이라는 예상치 못한 변수가 발생한 와중에 분위기를 수습해 7대4로 승리했다. 그러나 이겼다고 해서 뒷맛까지 개운한 것은 아니다. 계속되는 판정 이슈에 현장은 불만이 쌓여가고, 심판들도 괴로운 상황이 반복되는 중이다. 비디오판독도 효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찰나의 순간, 심판들이 직접 잡아내기 힘든 판정들을 바로잡기 위해 비디오판독을 도입했다. 하지만 드물게 비디오판독을 거쳤는데도 납득하기 힘든 판정이 나오기도 한다. 계속되는 판정 논란은 KBO리그를 위협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다. 최고의 개선책은 잡음없는 결과로 보여줄 때 가장 확실하다. 

0 댓글